범부처재생의료기술개발사업, 2023년 신규 과제 45개 선정…선정 과제는?
신규 사업비 130억 9,300만 원 지원
재생의료 분야를 선도할 차세대 혁신 기술 발굴
기술개발 단계에서부터 우수 IP 확보 위해 일부 과제는 특허전략 컨설팅 지원
국내 재생의료 분야 미래상을 기반으로 한 전략적인 투자 필요
[바이오타임즈] 범부처재생의료기술개발사업단(단장 조인호, 이하 사업단)은 출범 3년 차를 맞이해 신규 지원 과제 45개를 선정하고 4월 1일부터 본격적인 지원에 나섰다. 선정된 과제에는 2023년도 신규 사업비 130억 9,300만 원이 지원될 예정이다.
범부처재생의료기술개발사업단은 재생의료 분야의 원천기술 개발부터 임상 단계 연구까지 전주기 연구사업을 지원하기 위해 과기정통부와 보건복지부가 공동으로 설립했으며, 2021년 3월에 설립되어 2030년까지 총 10년 동안 총 5,955억 원(국비 5,423억 원, 민간 532억 원) 규모의 연구비를 지원하게 된다.
재생의료는 손상된 사람의 세포, 조직, 장기 등의 기능을 복원시키는 의학 분야로, 줄기세포 치료제, 바이오소재, 조직공학, 면역세포 치료제, 유전자치료제 분야를 포함한다.
사업단은 글로벌 재생의료 시장이 2019년 229억 달러에서 2030년 1,277억 달러까지 연평균 17.45%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면서, 전체 바이오의약품 분야 대비 재생의료 분야 비중도 2020년 7%에서 2030년 10%대까지 지속 상승할 것으로 예측했다.
또한, 바이오의약품 시장의 성장률(6.6%) 대비 재생의료 시장 성장률은 높게(16.2%~26.3%) 나타나고 있으며, 특히 유전자치료제 시장 성장률이 가장 높을 것(20.2%~22.8%)으로 전망되고 있다.
우리나라 재생의료 분야의 연구 역사는 20년으로, 상업화 기술력도 앞서 있고, 재생의료 임상도 활발한 편이다. 2020년 8월 첨단재생의료 및 첨단바이오의약품 안전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이하 첨생법)이 시행되면서 재생의료 분야의 급속한 발전이 기대되지만, 여전히 법적 제약이 많다는 지적이다.
이에 사업단은 ▲재생의료 핵심 원천기술 확보 및 확장성을 고려한 신기술 개발 ▲원천기술 개발 영역에서 발굴한 신기술 검증 목적의 응용 기술 및 치료제 확보 기술 개발 ▲현재 임상연구(TRL6∼7) 중인 질환 타깃 치료제의 임상 2상 완료 등 연구개발을 지원한다.
범부처재생의료기술개발사업은 재생의료 분야 핵심·원천기술의 발굴부터 치료제 및 치료 기술의 임상 단계까지 전 주기를 지원하는 사업이다.
2023년에는 기술개발 단계에서부터 우수 IP 확보를 위해 원천·연계 기술개발 분야의 일부 과제는 특허전략 컨설팅을 지원하는 등 연구자들이 기술 실용화를 염두에 둔 연구를 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사업단은 재생의료 원천기술 개발, 재생의료 연계 기술개발, 재생의료 치료제·치료 기술개발 등의 3개 내역 사업에서 출연연구기관 2개, 대학 20개, 병원·민간기업(연구소) 23개 등 총 45개 과제를 선정했다.
재생의료 원천 기술개발 분야(TRL 1~4)에서는 ▲재생의료 원천기술 개발 ▲재생의료 후보물질 도출을 지원한다. 총 12개 과제(42억 9,400만 원)를 지원할 예정이다.
재생의료 연계 기술개발 분야(TRL 3∼5)에서는 ▲재생의료 융합기술 개발 ▲재생의료 치료제 확보 기술 개발을 지원하며, 혁신 기술 및 융복합 기술을 활용하거나 타깃 질환이 정해진 재생의료 비임상 연구를 대상으로 한다. 총 30개 과제(72억 2,400만 원)가 선정돼 지원받게 된다.
재생의료 치료제·치료 기술개발 분야(TRL 6~7)에서는 기업 주도의 국내 및 글로벌 허가용 임상시험을 지원한다. 총 3개 과제(15억 7,500만 원)가 선정됐다.
범부처재생의료기술개발사업은 지난 2년간 총 107개 과제를 선정해 지원하고 있으며, 이번 45개 신규과제 선정으로 총 152개 과제에 549억 7,200만 원의 사업비를 지원한다.
한편 사업단은 지난 3월 21일 펴낸 [재생의료 Brief 제1호]의 ‘재생의료 최신 동향 분석 및 미래 전략’에서 재생의료 최신 동향 및 국내 역량에 기반해 재생의료의 방향성을 도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금까지 국내 재생의료 및 산업의 움직임은 글로벌 시장과는 일부 다른 양상을 보인다. 예를 들어 글로벌재생의료 시장 전망은 유전자치료제의 시장 규모 성장률이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측한 것에 비해, 국내 재생의료 및 시장은 세포치료제 분야에 치중해 있다는 것이다.
사업단은 2021년 출범 이후 다양한 첨단바이오의약품 개발을 위한 연구를 지원하고 있으나, 세포 유전자치료제 연구의 경우 연구만 가능하고, 암 연구 등도 타 사업과의 중복성 이슈로 지원이 불가능하다. 이로 인해 연구자들은 연구 지원 내용에 대한 혼선을 겪고 있고, 재생의료기술 발전을 위한 효율적 효과적 지원도 어려운 실정이다.
아울러 우수한 연구성과 간의 연계 가능성을 높이는 지원 정책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제시했다. 이를 위해 사업단이 우수한 기초 연구 성과를 단절 없이 사업화 성과로 연계할 수 있도록 컨트롤타워로서의 역할을 공고히 해야 할 것이라는 점을 강조했다.
국내 재생의료 산업이 글로벌 시장과의 경쟁력을 갖출 수 있는 중요한 시기인 만큼, 국내 재생의료 분야 미래상을 기반으로 전략적인 투자가 이루어지도록 노력이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바이오타임즈=김수진 기자] sjkimcap@biotimes.co.kr
출처 : 바이오타임즈(http://www.biotime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