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YJ세라퓨틱스 로고 가로형영문.png
신문
Home · NEWS · 보도자료

​보도자료


ree

1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제3회 CARM 오픈이노베이션 투자 콘퍼런스’.©약업신문=권혁진 기자


차세대 신약 개발의 주역으로 떠오른 국내 바이오텍들이 대거 집결해 혁신 기술과 파이프라인을 공개했다. 글로벌 시장을 정조준한 기술 경쟁력에 국내외 벤처캐피털(VC)과 투자자들의 시선이 집중되며 현장은 새로운 투자 기회의 장으로 뜨겁게 달아올랐다.

1일 서울 코엑스에서 진행된 ‘코리아 라이프 사이언스 위크 2025’ 부대행사 ‘제3회 CARM 오픈이노베이션 투자 콘퍼런스’에는 줄기세포치료제, 세포·유전자 치료제, 엑소좀, AAV 유전자치료제 등 미래 의학을 선도할 차세대 기술 기업들이 한자리에 모였다. 

업계에서는 “알테오젠, 리가켐, 에이비엘바이오를 이을 차세대 강자가 나올 수 있다”는 기대감이 나왔다. 이날 발표한 기업들은 단일 신약 후보물질을 넘어 플랫폼·파이프라인·제조 역량까지 포괄하는 종합 전략을 제시했다.임상 성과와 구체적 사업 전략을 내세운 바이오텍들이 도약을 위해 무대에 올랐다. 기술 소개를 넘어 실제 환자 데이터와 글로벌 확장 계획까지 공개하면서, 투자자들의 관심이 집중됐다.

1일 서울 코엑스에서 진행된 ‘코리아 라이프 사이언스 위크 2025’ 부대행사 ‘제3회 CARM 오픈이노베이션 투자 콘퍼런스’ 후반부 세션은 국내 혁신 신약들이 연구 단계를 넘어 상업화 단계로 다가서고 있음을 보여준 자리였다.

ree

와이제이세라퓨틱스 윤태영 대표.©약업신문=권혁진 기자


와이제이세라퓨틱스(대표 윤태영)가 신경계 줄기세포 치료제 개발의 새로운 해법을 내놓고 있다.

와이제이세라퓨틱스는 단일 저분자화합물 기반 ‘직접교차분화(Direct Conversion)’ 플랫폼을 통해 중간엽줄기세포를 신경줄기세포와 신경전구세포로 2~5일 내 전환하는 기술을 확보했다. 기존 유도만능줄기세포나 배아줄기세포 방식보다 공정이 단순하고 비용 부담을 크게 줄일 수 있다는 설명이다.

핵심 기술 체계는 △ 중간엽줄기세포 원천세포 확보 △저분자화합물 YJ102 기반 교차분화 플랫폼 △치료제로 이어지는 NSC·NPC 단계로 구성된다. 

윤태영 대표는 “유전자 조작이나 바이러스 벡터를 사용하지 않아 안전성이 높고, 대량생산이 가능해 상업적 확장성에서 강점을 가진다”라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현재 신경계 질환 치료제는 증상 완화에 그치는 경우가 많지만, 와이제이세라퓨틱스는 손상된 신경세포를 직접 대체해 근본적 회복을 가능하게 하는 치료를 목표로 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주력 파이프라인 ‘ciNSC5’는 척수손상 치료제로 개발 중이다. 전임상 연구에서 운동 기능 회복과 축삭 재생 효과가 확인됐으며, 손상 부위에서 실제 세포 생착과 신경세포로의 분화도 관찰됐다.

특히 회사는 해당 플랫폼이 파킨슨병, 다발성경화증, 루게릭병 등 퇴행성 신경질환으로도 확장될 가능성이 연구를 통해 확인됐다고 설명했다.

윤 대표는 “빠르면 2026년 ciNSC5 척수손상 치료제를 임상 1/2a상에 진입시키고, 파킨슨병 적응증은 2027년 IND 제출을 목표로 개발을 이어갈 계획”이라고 강조했다.현재 와이제이세라퓨틱스는 약 150억원 규모의 투자 유치를 추진 중이다. 확보한 자금은 임상 진입, 추가 파이프라인 확장, GMP급 생산 인프라 구축 등에 투입될 예정이다. 

이어 그는 “직접교차분화 플랫폼은 글로벌 시장에서도 차별성을 인정받을 수 있을 것”이라며 “신경 재생 분야에서 선도 기업으로 성장하겠다”고 말했다.


[약업신문=권혁진 기자 hjkwon@yakup.com]


범부처재생의료기술개발사업, 2023년 신규 과제 45개 선정…선정 과제는?

신규 사업비 130억 9,300만 원 지원

재생의료 분야를 선도할 차세대 혁신 기술 발굴

기술개발 단계에서부터 우수 IP 확보 위해 일부 과제는 특허전략 컨설팅 지원

국내 재생의료 분야 미래상을 기반으로 한 전략적인 투자 필요


[바이오타임즈] 범부처재생의료기술개발사업단(단장 조인호, 이하 사업단)은 출범 3년 차를 맞이해 신규 지원 과제 45개를 선정하고 4월 1일부터 본격적인 지원에 나섰다. 선정된 과제에는 2023년도 신규 사업비 130억 9,300만 원이 지원될 예정이다.


범부처재생의료기술개발사업단은 재생의료 분야의 원천기술 개발부터 임상 단계 연구까지 전주기 연구사업을 지원하기 위해 과기정통부와 보건복지부가 공동으로 설립했으며, 2021년 3월에 설립되어 2030년까지 총 10년 동안 총 5,955억 원(국비 5,423억 원, 민간 532억 원) 규모의 연구비를 지원하게 된다.


재생의료는 손상된 사람의 세포, 조직, 장기 등의 기능을 복원시키는 의학 분야로, 줄기세포 치료제, 바이오소재, 조직공학, 면역세포 치료제, 유전자치료제 분야를 포함한다.


사업단은 글로벌 재생의료 시장이 2019년 229억 달러에서 2030년 1,277억 달러까지 연평균 17.45%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면서, 전체 바이오의약품 분야 대비 재생의료 분야 비중도 2020년 7%에서 2030년 10%대까지 지속 상승할 것으로 예측했다.


또한, 바이오의약품 시장의 성장률(6.6%) 대비 재생의료 시장 성장률은 높게(16.2%~26.3%) 나타나고 있으며, 특히 유전자치료제 시장 성장률이 가장 높을 것(20.2%~22.8%)으로 전망되고 있다.


우리나라 재생의료 분야의 연구 역사는 20년으로, 상업화 기술력도 앞서 있고, 재생의료 임상도 활발한 편이다. 2020년 8월 첨단재생의료 및 첨단바이오의약품 안전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이하 첨생법)이 시행되면서 재생의료 분야의 급속한 발전이 기대되지만, 여전히 법적 제약이 많다는 지적이다.


이에 사업단은 ▲재생의료 핵심 원천기술 확보 및 확장성을 고려한 신기술 개발 ▲원천기술 개발 영역에서 발굴한 신기술 검증 목적의 응용 기술 및 치료제 확보 기술 개발 ▲현재 임상연구(TRL6∼7) 중인 질환 타깃 치료제의 임상 2상 완료 등 연구개발을 지원한다.


범부처재생의료기술개발사업은 재생의료 분야 핵심·원천기술의 발굴부터 치료제 및 치료 기술의 임상 단계까지 전 주기를 지원하는 사업이다.


2023년에는 기술개발 단계에서부터 우수 IP 확보를 위해 원천·연계 기술개발 분야의 일부 과제는 특허전략 컨설팅을 지원하는 등 연구자들이 기술 실용화를 염두에 둔 연구를 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사업단은 재생의료 원천기술 개발, 재생의료 연계 기술개발, 재생의료 치료제·치료 기술개발 등의 3개 내역 사업에서 출연연구기관 2개, 대학 20개, 병원·민간기업(연구소) 23개 등 총 45개 과제를 선정했다.

ree

재생의료 원천 기술개발 분야(TRL 1~4)에서는 ▲재생의료 원천기술 개발 ▲재생의료 후보물질 도출을 지원한다. 총 12개 과제(42억 9,400만 원)를 지원할 예정이다.


재생의료 연계 기술개발 분야(TRL 3∼5)에서는 ▲재생의료 융합기술 개발 ▲재생의료 치료제 확보 기술 개발을 지원하며, 혁신 기술 및 융복합 기술을 활용하거나 타깃 질환이 정해진 재생의료 비임상 연구를 대상으로 한다. 총 30개 과제(72억 2,400만 원)가 선정돼 지원받게 된다.


재생의료 치료제·치료 기술개발 분야(TRL 6~7)에서는 기업 주도의 국내 및 글로벌 허가용 임상시험을 지원한다. 총 3개 과제(15억 7,500만 원)가 선정됐다.


범부처재생의료기술개발사업은 지난 2년간 총 107개 과제를 선정해 지원하고 있으며, 이번 45개 신규과제 선정으로 총 152개 과제에 549억 7,200만 원의 사업비를 지원한다.


한편 사업단은 지난 3월 21일 펴낸 [재생의료 Brief 제1호]의 ‘재생의료 최신 동향 분석 및 미래 전략’에서 재생의료 최신 동향 및 국내 역량에 기반해 재생의료의 방향성을 도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금까지 국내 재생의료 및 산업의 움직임은 글로벌 시장과는 일부 다른 양상을 보인다. 예를 들어 글로벌재생의료 시장 전망은 유전자치료제의 시장 규모 성장률이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측한 것에 비해, 국내 재생의료 및 시장은 세포치료제 분야에 치중해 있다는 것이다.


사업단은 2021년 출범 이후 다양한 첨단바이오의약품 개발을 위한 연구를 지원하고 있으나, 세포 유전자치료제 연구의 경우 연구만 가능하고, 암 연구 등도 타 사업과의 중복성 이슈로 지원이 불가능하다. 이로 인해 연구자들은 연구 지원 내용에 대한 혼선을 겪고 있고, 재생의료기술 발전을 위한 효율적 효과적 지원도 어려운 실정이다.


아울러 우수한 연구성과 간의 연계 가능성을 높이는 지원 정책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제시했다. 이를 위해 사업단이 우수한 기초 연구 성과를 단절 없이 사업화 성과로 연계할 수 있도록 컨트롤타워로서의 역할을 공고히 해야 할 것이라는 점을 강조했다.


국내 재생의료 산업이 글로벌 시장과의 경쟁력을 갖출 수 있는 중요한 시기인 만큼, 국내 재생의료 분야 미래상을 기반으로 전략적인 투자가 이루어지도록 노력이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바이오타임즈=김수진 기자] sjkimcap@biotimes.co.kr


출처 : 바이오타임즈(http://www.biotimes.co.kr)



시드 5억 이어 RCPS 20억 매입…성장 도우미 역할

이돈섭 기자공개 2022-06-10 08:08:14


바이오 헬스케어 투자 전문 하우스를 표방하는 쿼드자산운용이 세포치료 개발업체 와이제이세라퓨틱스에 투자한다. 지난해 시드머니를 투자한 데 이어 최근 전환상환우선주(RCPS) 매입도 주도하면서 기업 성장을 견인하고 있는 모습이다. 척추손상과 다발성경화증, 루게릭병 등 세포치료제 개발 가능성을 높게 평가했다.


9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쿼드운용이 지난 3월 말 와이제이세라퓨틱스에 고유재산 20억원을 투자했다. 와이제이세라퓨틱스가 상환전환우선주 8만5224주를 주당 8만원에 70억원 규모로 발행했는데, 이중 2만4850주를 매입했다. 이 밖에 유경PSG자산운용과 새한창업투자도 매수에 참여해 각각 20억원, 30억원을 투자했다.


와이제이세라퓨틱스의 이번 RCPS 발행은 시리즈 A 단계. 쿼드운용은 지난해 6월 보통주 2만5000주를 주당 2만원씩 총 5억원을 시드머니로 투입한 바 있다. 이번 투자로 쿼드운용은 와이제이세라퓨틱스 지분을 10%가량 확보했다는 설명이다. 이에 기반해 단순 산출한 회사 전체 밸류에이션은 250억원 정도로 파악된다.


쿼드운용은 정종혁 부사장을 와이제이세라퓨틱스 이사회 기타비상무이사로 회사 경영에 참여시키기로 했다. 현재 회사 이사회는 윤태영 대표와 주봉건 기술이사, 정 이사 등 3명으로 구성돼 있다. 이번 RCPS 발행으로 유치한 자금을 연구개발에 활용할 계획이다. 내년 중 시리즈 B 투자를 유치하는 것이 목표다.


실제 이번 RCPS에는 보통주와 동일한 의결권이 부여돼 있다. 와이제이세라퓨틱스가 유상증자를 단행할 경우 증자참여 우선권도 포함돼 있다. 피투자 기업이 향후 코스닥 상장 시 이번 RCPS 발행가액이 확정 공모가액 80%에 못 미칠 경우 RCPS 전환가액을 확정 공모가액의 80%로 높여 조정할 수 있다는 조항도 들어있다.


와이제이세라퓨틱스는 지난해 설립한 신생 바이오 기업이다. 유태영 경희대 의과대 생화학분자생물학교실 교수 주도로 신경재생 치료제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외상성 척수손상과 희귀 중추신경계 질환인 루게릭, 다발성경화증 등 현재 적절한 치료법이 없는 난치성 질환을 치유하는 데 활용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최근에는 강스템바이오텍과 교차분화 신경전구세포 치료제 위탁개발생산 계약을 체결하기도 했다. 와이제이세라퓨틱스가 자체 개발한 저분자화합물을 이용해 중간엽줄기세포를 신경전구세포로 전환시키는 기술을 활용, 강스템바이오텍 계약을 통해 세포치료제를 본격적으로 생산해낼 수 있을 것이란 기대가 나온다.


올해 들어 쿼드운용이 단행한 비상장 기업 투자는 와이제이세라퓨틱스가 처음이다. 지난 3월 말 기준 쿼드운용이 지금까지 고유재산을 투입한 비상장 기업 수는 모두 6개로, 기업당 많게는 47억원 적게는 3억원을 투입했다. 가장 최근에 투자한 비상장 기업은 온라인 자동차 유통 플랫폼 '카머스' 운영사 핸들이다.


한편 지난해 하반기 증시 변동성 확대로 미국 나스닥 바이오테크 지수가 고점대비 60% 이상 떨어지는 등 바이오 기업 주가 부진이 이어지고 있다. 자산운용업계 관계자는 "최근 2~3년간 바이오 관련 기업 주가가 꾸준히 오르고 있던 상황과는 정반대 흐름이 연출되면서 자금 유치 역시 어려워졌다"고 설명했다.

YJ세라퓨틱스 로고 가로형국영문조합.png
[본사] 서울시 노원구 공릉로 232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서울테크노파크 905호
[연구소] 서울시 노원구 공릉로 232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서울테크노파크 908호, 909호
TEL 02-969-6942 | FAX 0504-396-2621│ choi.hy@yjcerapeutics.com
© Copyright YJ Cerapeutics. All Rights Reserved.
Designed by Wixweb
bottom of page